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계양산러브버그방제, 계양산털파리, 러브버그민원, 살충제, 러브버그 실시간 상황정리(곤충사진有)

by 인포 블로그 2025. 7. 4.

 

“계양산 뒤덮은 러브버그…살충제 없이 잡는다, 민원 폭주에 지자체도 한계”

 

 인천 계양산 러브버그 방제 작업 요약 정리

 러브버그란?

  • 학명: 붉은등우단털파리
  • 별칭: 러브버그(Lovebug), 중국털파리
  • 특징: 짝짓기하며 날아다님. 사람에겐 무해하지만 시각·후각적 불쾌 유발
  • 발생시기: 주로 6~7월, 빛에 강하게 유인

 

 방제 방식 요약

 1. 물리적 방제

  • 송풍기, 포충망 사용해 성충 직접 제거
  • 광원 포집 장비 설치: 러브버그는 빛에 반응 → 유인 후 포집

 2. 환경 정비

  • 사체 수거 작업 병행
    • 악취·불쾌감 최소화
    • 지역 주민 불만 해소 목적

 3. 살충제 사용 여부

  • 화학 살충제 직접 살포는 지양
    • 생태계, 인근 등산객 등 고려
    • 친환경적·선택적 방제 기술 위주
  • 향후 종 특이적 친환경 살충제 개발 R&D 예정

 민원 대응 및 지자체의 자세

 지자체와 환경부의 공동 대응

  • 환경부 + 계양구청 협력
  • 37명 방제 인력 + 10여 명 현장 인력 투입
  • 긴급 예산, 장비, 인력 전폭 지원

 과도한 민원, 공무원 피로도 ↑

  • 도 넘은 민원”으로 공무원 피로 누적
  • 인천시 담당자들: “하루 수십 통 민원에 대응만 해도 벅차다”는 고충
  • 일부 시민은 SNS에 “지자체 뭐 하냐” 비난 글까지… 현장 공무원 사기 저하 우려

 해외 사례

국가대응 방식
🇺🇸 미국 플로리다 러브버그 대량 출몰 시 고속도로 물청소차 순회, 살충제 사용 최소화
🇯🇵 일본 지역 자치단체별로 곤충 유인등·포집기 배치, 주민 자율 대응 유도
🇫🇷 프랑스 생태계 균형 우선, 주기적 모니터링 후 방제 여부 결정
 

 정리

  • 계양산 러브버그 방제친환경적 장비 위주 물리적 대응 중심
  • 살충제 직접 살포는 하지 않으며, 향후 연구 및 제도 개선 추진
  • 주민 불편 민원은 증가하는 반면, 공무원 대응 역량은 한계
  • 지속적 연구와 법적 대응 체계 필요성 대두 중